우리별세상만사다반사

나이별 공부 미루는 심리 본문

육아

나이별 공부 미루는 심리

woori-star 2025. 5. 14. 09:00
반응형

나이별로 공부를 미룰 때의 심리는 발달 단계마다 다르게 나타나, 아래처럼 정리할 수 있어:

1. 유아기 (~6세)
• 공부보다 놀이가 훨씬 재미있음
• 집중 시간이 짧고, 즉각적인 보상이 없으면 금방 싫증
• “공부는 재미없는 일”이라는 인식이 들기 시작함

예: 엄마가 한글 놀이책을 꺼내면 “이거 말고 블록 놀이할래!“라고 함

극복 팁:
• 학습을 놀이처럼 느끼게 하기
• 짧고 반복적인 활동 제공
• “이거 하고 나면 좋아하는 게임하기!”처럼 보상 연결


2. 초등 저학년 (7~9세)
• 규칙과 해야 할 일이 늘어나며 반항심 생김
• “왜 해야 해?” 같은 질문 많아짐
• 실수나 틀림에 대한 두려움으로 회피

예: 숙제는 책상에 꺼내놓고, 갑자기 연필 깎기나 정리정돈을 시작함

극복 팁:
• 공부할 이유를 아이 눈높이에서 설명해주기
• 칭찬과 인정으로 자신감 키워주기
• “5분만 해보자”처럼 시작 진입 장벽 낮추기



3. 초등 고학년 (10~12세)
• 학습량 증가로 압박감 상승
• 완벽주의 또는 실패 회피
• 유튜브, 게임 등 더 자극적인 것에 집중

예: “오늘은 너무 피곤해. 내일 아침에 할게.“라며 반복 미룸

극복 팁:
• 계획을 아이와 함께 세우고 스스로 체크하게 하기
• 해야 할 과제를 작게 쪼개서 부담 줄이기
•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제한 및 관리


4. 중고등학생 (13세~)
• 학업 성취가 자존감과 직결
• 성적에 대한 불안 → 회피
• 즉각적 보상보다 장기 목표가 중요해지지만 동기 약함

예: 계획은 잘 세우지만 실행을 계속 미룸
“지금 해봤자 안 될 거야”라는 체념 섞인 말

극복 팁:
• 구체적인 목표와 시간 제한 설정
• 감정 다루는 훈련(불안, 자책 등) 병행
• 작은 성공 경험으로 동기 자극

공부를 미루는 자녀에게는 먼저 “하기 싫을 수 있어”라는 감정을 공감해 주고, 작고 쉬운 과제부터 시작하도록 유도하세요.
비난보다는 “같이 해볼까?” 같은 동행의 태도가 동기를 높여줍니다.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짧은 시간이라도 끝낸 경험을 반복하게 해주세요.

반응형
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얼레리꼴레리? 놀림인가 아닌가  (2) 2025.05.13
지성이란  (0) 2025.05.11
인성이란  (2) 2025.05.10
성장기 비만관리 해야하는 이유  (0) 2025.05.08
입 짧은 아이들의 특징  (0) 2025.05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