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별세상만사다반사

피해망상 표현방식 본문

육아

피해망상 표현방식

woori-star 2025. 5. 20. 09:00
반응형

**피해망상(被害妄想)**은
다른 사람이 자신을 해치려 하거나 나쁘게 대한다고 근거 없이 믿는 비현실적인 생각을 말합니다.


1. 정의

피해망상은 흔히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:
• “누가 나를 미워한다”
• “나를 감시하거나 해치려 한다”
• “내 말을 오해하고 모두가 나를 비난한다”

이런 생각은 실제 사실과 관계없이 강하게 믿어지며, 당사자는 이를 의심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

2. 주요 특징
• 현실과 동떨어진 확신
• 타인의 말과 행동을 부정적으로 해석
• 사회적 관계에서 불신과 고립
• 불안, 분노, 억울함 같은 강한 감정 반응


피해망상은 아이들에게도 나타날 수있는데요, 어린이·청소년의 피해망상 표현 방식과 부모나 보호자가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

1. 어린이·청소년의 피해망상 표현 방식

어린이와 청소년은 어른처럼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 행동이나 말로 짐작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.

어린이 (대체로 5~10세)

• “선생님이 나만 미워해”
• “친구들이 나랑 안 놀려고 작당했어”
• 평범한 실수를 자신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
• 감정 폭발: 갑자기 울거나 화내기
• 놀이나 학교 활동에서 소외감을 반복적으로 호소

청소년 (대체로 11세 이상)

• “다 나만 싫어하는 것 같아”
• “엄마 아빠도 나 편 안 들어줘”
• 사회적 관계에 과도한 예민함과 의심
• 혼잣말, 불면, 휴대폰 감시에 대한 집착
• 자존감이 매우 낮고 위축된 태도


2. 부모나 보호자가 도와줄 수 있는 방법

감정을 먼저 공감해 주세요
• “그랬구나. 속상했겠네.”
• 아이가 느끼는 감정 자체는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시켜 주세요.

사실과 감정을 구분하도록 도와주세요
• “그 친구가 그렇게 말했어? 혹시 다른 뜻은 아니었을까?”
• 감정은 인정하되, 왜곡된 해석은 부드럽게 바로잡기

긍정적인 해석 연습하기
• 하루에 있었던 좋았던 일도 함께 이야기하며 인지 균형 맞추기
• “오늘은 너랑 잘 놀았던 친구도 있었지?”

일기를 통해 생각 정리 유도
• ‘오늘 기분’, ‘내가 생각한 것’, ‘사실은 어땠는지’ 같은 형식
→ 왜곡된 사고를 스스로 인식할 기회 제공

⑤ 전문가 상담을 권유해야 할 시점
• 피해망상이 6개월 이상 지속, 또는 심해질 경우
• 현실 판단이 어려울 정도의 심각한 불안, 분노, 위축
• 자해, 자존감 문제, 사회적 고립이 동반될 경우


피해망상이 일상생활이나 인간관계를 지속적으로 방해하거나 감정 기복이나 불안, 분노가 심해지거나 타인과의 관계에 극단적인 갈등이 반복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반응형
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나이별 공부 미루는 심리  (0) 2025.05.14
얼레리꼴레리? 놀림인가 아닌가  (2) 2025.05.13
지성이란  (0) 2025.05.11
인성이란  (2) 2025.05.10
성장기 비만관리 해야하는 이유  (0) 2025.05.08